한국고분자학회

로그인 회원가입

SITE MAP

공지ㆍ안내

공지사항

2024년도 추계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초록제출 안내

작성자관리자

작성일2024.06.24

조회수1788






















일 시 : 2024년 9월 30일(월)~10월 2일(수)
장 소 : 부산컨벤션센터(BEXCO)






발표논문의 초록은 온라인 상에서만 접수(초록접수 프로그램 사용방법 참조)하오니,
아래의 사항을 숙지하시어 착오없이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.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· 발 표 자 격 발표자 및 공동저자는 필히 본 학회 회원이어야 합니다.
color=red>미가입자는 8월 7일(수)까지 학회에 가입하도록 협조 바랍니다.
· 발 표 시 간 특별강연-25분(질문시간 포함), 구두-20분(질문시간 포함),
포스터-90분
· 초록제출마감 2024년 8월 7일(수) 오후 6시

(영문 1,000자 또는 국문 500자 이내 작성)
(프로그램 준비 관계상 마감 이후에는 접수를 받지 않습니다.)

· 초록수정기간 2024년 8월 7일(수)까지
· 초 록 접 수 한국고분자학회 홈페이지(www.polymer.or.kr)
· 유 의 사 항 ※초록 입력 전, 반드시 쿠키 삭제 IE Tab Auto URL 삭제 후 초록 등록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.
    

※초록 등록 시 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.

※초록 제출 후 초록검색 및 수정(link)에서 반드시 입력한 초록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· 일반발표분야
 1. 고분자 합성: 맞춤형 제어 고분자 합성 및 응용 구병진  단국대학교
 bkoo@dankook.ac.kr, 031-8005-3597
김정곤  전북대학교
 jeunggonkim@jbnu.ac.kr, 063-270-3413
 2. 기능성 고분자: 전기(화학)활성 고분자 소재
 및 소자 기술
권지언  한국과학기술연구원
 jekwon@kist.re.kr, 063-219-8151
유정목  경희대학교
 jmyou@khu.ac.kr, 031-201-2626
 3. 고분자가공/복합재료/재활용:
 복합 소재 및 공정의 새로운 트렌드 Ⅱ
김희중  인하대학교
 heejoong@inha.ac.kr, 032-860-7488
박태훈  한국재료연구원
 thpark@kims.re.kr, 055-280-3158
 4. 고분자구조 및 물성:
 고분자 소재의 정량적 분석 최신 연구 동향
최수형  홍익대학교
 shchoi@hongik.ac.kr, 02-320-1686
안효성  전남대학교
 hyosungan@chonnam.ac.kr, 061-659-7761
 5. 분자전자 부문위원회 Ⅰ,Ⅱ 이보람  성균관대학교
 brlee@skku.edu, 031-290-7416
강문성  서강대학교
 kangms@sogang.ac.kr, 02-705-8475
나석인  전북대학교
 nsi@jbnu.ac.kr, 063-270-4465
김도환  한양대학교
 dhkim76@hanyang.ac.kr, 02-2220-2617
 6. 의료용 고분자 부문위원회
 Ⅰ: 3D (바이오) 프린팅 기술의 응용 및 첨단 바이오 의약
 Ⅱ: 의료용 고분자 산업계의 최신 연구 동향
백지응  이화여자대학교
 jieungbaek@ewha.ac.kr, 02-3277-3587
손세진  인하대학교
 ssejin@inha.ac.kr, 032-860-7693
김교범  동국대학교
 kyobum.kim@dongguk.edu, 02-2260-8597
김기수  부산대학교
 kisukim@pusan.ac.kr, 051-510-2496
 7. 콜로이드 및 분자조립 부문위원회 Ⅰ:
 연성소재 자기조립 및 계면 제어 혁신기술
우상혁  중앙대학교
 woohsh@cau.ac.kr, 02-820-5401
구강희  UNIST
 kangheeku@unist.ac.kr, 052-217-2591
 8. 콜로이드 및 분자조립 부문위원회 Ⅱ:
 K-Beauty 피부바이오 기술 혁신 및 산업 동향
김신현  한국과학기술원
 kim.sh@kaist.ac.kr, 042-350-3911
엄영호  한양대학교
 eomyh@hanyang.ac.kr, 02-2220-0489
 9. 에코소재 부문위원회:
 미래 녹색 산업을 위한 고분자 기술
박제영  서강대학교
 jeypark@sogang.ac.kr, 02-705-8477
김희중  인하대학교
 heejoong@inha.ac.kr, 032-860-7488
김정곤  전북대학교
 jeunggonkim@jbnu.ac.kr, 063-270-3413
 10. 에너지 부문위원회 Ⅰ,Ⅱ:
 미래 에너지 소재 기술 및 동향 Ⅰ,Ⅱ
박문정  포항공과대학교
 moonpark@postech.ac.kr, 054-279-2342
손창윤  포항공과대학교
 changyunson@postech.ac.kr, 054-279-2763
박민주  한국화학연구원
 minju@krict.re.kr, 042-860-7389
 11. 신진연구자 특별 심포지엄  신진연구자는 각 세션별로 3명씩 10월 2일(수)에 진행하오니
 발표를 희망하시는 분은 세션 책임자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 12. 대학원생 구두발표(영어발표, 발표15분) Sheng Li  한국과학기술원
 shengli@kaist.ac.kr, 042-350-7313
허수미  전남대학교
 shur@jnu.ac.kr, 062-530-1772
 13. 대학원생 구두발표(발표15분) 임정아  한국과학기술연구원
 jalim@kist.re.kr, 02-958-5378
서성백  부산대학교
 sbseo81@pusan.ac.kr, 055-350-5383
 14. 대학원생 구두발표(토론Ⅰ):
 포스트 분자전자 소재와 소자 기술
이보람  성균관대학교
 brlee@skku.edu, 031-290-7416
 15. 대학원생 구두발표(토론Ⅱ):
 고분자 기술을 활용한 첨단의약품
김교범  동국대학교
 kyobum.kim@dongguk.edu, 02-2260-8597
 16. 대학원생 구두발표(토론Ⅲ):
 지능형 분자 및 콜로이드 설계, 조립 및 응용연구
류진  한국과학기술연구원
 jyoo@kist.re.kr, 02-958-5329
 17. 대학원생 구두발표(토론Ⅳ):
 지속가능한 친환경 고분자 기술
남기호  경북대학교
 knam@knu.ac.kr, 053-950-5641
 18. 대학원생 구두발표(토론Ⅴ):
 지속가능한 에너지 소재 및 기술
박민주  한국화학연구원
 minju@krict.re.kr, 042-860-7389
 19. 대학원생 구두발표(코스맥스) 백지응  이화여자대학교
 jieungbaek@ewha.ac.kr, 02-3277-3587
김지훈  중앙대학교
 jihoonkim@cau.ac.kr, 02-820-5489
노상철  전남대학교
 scroh@jnu.ac.kr, 062-530-1877
조성민  부산대학교
 seongmini@pusan.ac.kr, 055-350-5384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· 특별발표분야
 1. Korea-Japan Joint Symposium:
 Recent Advances in Polymer Science and
 Engineering: From Fundamentals to
 Applications(English)
윤홍석  한양대학교
 yunhs@hanyang.ac.kr, 02-2220-0934
허수미  전남대학교
 shur@jnu.ac.kr, 062-530-1772
김기환  경상국립대학교
 ghkim@gnu.ac.kr, 055-772-1651
 2. [한국화학연구원 특별세션] 한국화학연구원의
 지속가능 미래사회를 위한 소재 및 기술
고서진  한국화학연구원
 sjko927@krict.re.kr, 042-860-7376
박성민  한국화학연구원
 parks@krict.re.kr, 042-861-7331
 3. 한국화학연구원 정밀 바이오연구본부 10주년
 특별 세미나: 순환경제를 위한 정밀화학 및 지속가능
 고분자소재
이상호 동국대학교
 slee24@dgu.ac.kr, 02-2260-3707
공호열 경상국립대학교
 hoyoulkong@gnu.ac.kr, 055-772-1487
김기수 (재)울산테크노파크
 carbonnmr@utp.or.kr, 052-219-8729
 4. 미래 모빌리티 소재 개발을 위한 융합 연구 박종혁 한국과학기술연구원
 hyuk0326@kist.re.kr, 02-958-5338
정용채 한국과학기술연구원
 ycjung@kist.re.kr, 063-219-8153
임정아 한국과학기술연구원
 jalim@kist.re.kr, 02-958-5378
 5. Korea-Italy Bilateral Symposium on
 Organic Bioelectronics: Organic Mixed
 Ionic-Electronic Conductors and Devices(English)
김선주  중앙대학교
 fskim@cau.ac.kr, 02-820-5200
강기훈  서울대학교
 keehoon.kang@snu.ac.kr, 02-880-7189
곽민석  부경대학교
 mkwak@pukyong.ac.kr, 051-629-5595
윤명한  광주과학기술원
 mhyoon@gist.ac.kr, 062-715-2320
Fabio Biscarini  Univ. of Modena and Reggio Emilia
 fabio.biscarini@unimore.it
 6. 유전자로서 핵산고분자의 현재와 미래(English) 엄숭호  성균관대학교
 sh.um@skku.edu, 031-290-7348
장윤희  대구경북과학기술원
 yhjang@dgist.ac.kr, 053-785-6412
곽민석  부경대학교
 mkwak@pukyong.ac.kr, 051-629-5595
 7. 차세대 발광 소재와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기술 김호범  광주과학기술원
 hobkim@gist.ac.kr, 062-715-2741
이승진  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
 sjlee@kentech.ac.kr, 061-330-9651
 8. 우주/항공/국방용 첨단 고분자 및 복합소재 권지언  한국과학기술연구원
 jekwon@kist.re.kr, 063-219-8151
성동기  부산대학교
 dgseong@pusan.ac.kr, 051-510-2467
현진호  국방과학연구소
 hyonjinho@gmail.com, 042-821-3445
김기환  경상국립대학교
 ghkim@gnu.ac.kr, 055-772-1651
 9. 차세대 젤 소재와 소자의 혁신적 연구 동향 최수형  홍익대학교
 shchoi@hongik.ac.kr, 02-320-1686
이근형  인하대학교
 kh.lee@inha.ac.kr, 032-860-7462
 10. AI 및 자동화 특별세션: 미래소재에서 신약개발까지 손창윤  포항공과대학교
 changyunson@postech.ac.kr, 054-279-2763
김병수  연세대학교
 bskim19@yonsei.ac.kr, 02-2123-2636
 11. 수소의 생산에서 발전까지: 고분자의 역할 서명은  한국과학기술원
 sseomyungeun@kaist.ac.kr, 042-350-2814
 12. [산업 특별세션] 자동차용 친환경 소재의 산업
 연구동향
박제영  서강대학교
 jeypark@sogang.ac.kr, 02-705-8477
이기라  포항공과대학교
 yigira@postech.ac.kr, 054-279-2266
강동구  인천대학교
 dkkang@inu.ac.kr, 032-835-8094











※ 분야별 구두발표는 연구책임자와 박사급 회원이 발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(대학원생 구두발표 제외), 발표를 희망하시는 분은 2024년 7월 26일(금)까지 반드시 각 세션 책임자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
※ 신진연구자 특별 심포지엄: 신진연구자는 각 세션별로 3명씩 10월 2일(수)에 진행하오니 발표를 희망하시는 분은 세션 책임자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(일반발표분야만 해당).

※ 세션 책임자의 동의 없이 구두발표를 신청한 경우, 포스터 발표로 변경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
※ 대학원생 구두발표자는 우수논문발표상에 응모할 수 있습니다. 우수논문발표상 응모자는 초록제출 마감일(2024년 8월 7일(수))까지 소속 연구책임자의 추천서(연구책임자 1인당 1편(국문/영문 택1)으로 제한)를 학회로 제출하여야 합니다(추천서 양식은 초록 등록 페이지를 참고).

※ 코스맥스의 후원으로 대학원생 구두발표(코스맥스) 우수논문발표상 응모건 중 화장품 관련 분야 발표를 선정하여 9월 30일(월) 대학원생 구두발표를 진행합니다.

※ 포스터 발표자는 우수논문발표상에 응모할 수 있습니다. 초록제출 시 개인 자격으로 응모가 가능하며, 연구책임자의 추천서를 필요로 하지 않으나, 동일 연구실 내 지원자는 구두 부문을 포함하여 5인 이하를 권장합니다.

※ 우수논문발표상은 포스터와 구두 부문 중복 지원이 불가능하며, 2023년 추계 및 2024년 춘계 학술대회 우수논문발표상 기수상자는 동일 부문 응모가 제한됩니다(우수논문발표상(구두) 기수상자는 포스터발표만 응모 가능하며, 포스터 기수상자는 구두발표만 응모 가능합니다).

※ 포스터 발표 중 5편 이상 발표하는 연구실 대상으로 10팀을 선정하여 포스터 장려상을 수여합니다(발표저자 1명이 포스터 2편 이상을 발표하는 경우 1편만 집계). 연구실당 최대 수상자는 2명이며, 우수논문발표상을 수상하는 경우 장려상 선정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
※ 대학원생 구두발표의 경우, 발표시간이 한정된 관계로 초록의 사전심사를 통해 포스터 발표로 임의 변경될 수 있습니다.

※ 대학원생 구두발표 및 우수논문발표상에 응모한 포스터 발표의 경우, 발표취소가 불가합니다.

※ 대학원생 구두발표(토론) 발표자는 토론자로 자동 배치되며, 우수논문발표상(구두)에 자동 응모됩니다. 우수논문발표상 기수상자는 발표 및 토론만 가능하며 응모자에 포함되지 않습니다.

※ 발표 포스터는 영문으로 작성하는 것을 권장합니다.


첨부파일이 없습니다.